명절에 항상 먹는 음식 떡국. 하지만 아침 식사로 간단하게 만들어서 포만감을 줄 수 있는 식사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끔 아침 식사로 떡국을 만들어 먹는데요. 지역별, 조리방법에 따라 내 취향에 맞는 음식으로 변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떡국 레시피 모음을 공유해봅니다.
아래의 목차를 이용하시면 필요하신 정보로 빠르게 이동하실 수 있으세요.
1. 떡국 소개
우리 민족은 국을 좋아한다. 한국음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도 밥과 국이다. 설렁탕이나 곰탕을 먹을 때 밥과 국, 여기에 잘 익은 깍두기나 바로 한 겉절이만 있으면 한 끼 식사로 충분하다는 말도 있다.
국은 갱(羹)이라 하고, 확(臛) 이라고도 하며 또 탕(湯)이라고도 한다. 문헌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의 중국의 시집인 [확사(楚辭)]속에 갱과 확이 나타나는데 “갱은 채소가 섞인 고깃국이고, 확은 채소가 섞이지 않은 고깃국”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최근에는 갱과 확보다는 탕 음식을 주로 먹는다.
국은 재료에 따라 크게 고기와 생선을 사용하는 동물성국과 채소를 이용하는 식물성국으로 나뉜다. 또한 맑은 국물을 이용하는 국과 간장을 이용한 국, 그리고 된장과 고추장을 이용한 국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식재료의 보급으로 시절마다 대표적인 음식이 있다. 1월은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 때로 흰 가래떡을 얇게 썰어 장국에 넣어 끓이는데 병탕이라고도 하는 떡국을 즐겨 먹는다. ‘설’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그 중에서 ‘한 살 나이를 더 먹는’에서의 ‘살’에서 왔다는 유래를 통해 새해 새날이 시작된다는 의미로 되새길 수 있다.
떡국의 장국은 사골과 양지머리, 사태 등을 오랫동안 고아서 만든 것이 깊은 맛을 낸다. 바로 육수를 만들 때는 쇠고기를 잘게 썰어서 양념하여 볶다가 물을 부어 육수를 만든다.
떡국 위에 얹는 꾸미는 지방은 각 가정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다진 고기를 볶아서 얹기도 하고, 온면처럼 오색의 채 고명을 얹거나, 고기 산적을 작게 지져서 얹기도 한다.
달걀을 줄알 치는 대신에 지단을 부쳐서 넣기도 한다. 김은 식성에 따라 넣으며 많이 넣으면 고명의 티가 나지 않으니 적게 쓰는 편이 좋다. 떡국도 온면과 마찬가지로 불으면 맛이 없으므로 먹을 시간에 맞추어 바로 끓여서 먹도록 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 떡국 관련 이야기
조선시대에 지어진 야사집인 청성잡기에 따르면 조선 후기인 18세기 무렵에 한 세도가가 사치스러운 떡국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떡국에 들어가는 떡은 얼굴이며 팔다리까지 정교하게 빚은 어린아이의 형상으로, 눈으로 보기에 사랑스럽고 소리가 먹음직스러우며 냄새가 향기롭고 떡이 부드럽게 씹히며 맛이 좋아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보통 사치스러운 음식이 아니었던지 그 가문은 오래 못 가고 망해 버렸다고 한다.
이는 영조 때의 권력자 구선복과 관련된 일화이다. 그와 내외종간인 이주국이 구선복의 집에 방문했을 때, 그가 떡으로 만든 아이 인형을 먹으며 거드름을 피우는 것을 보고 의절, 임금에게 이 행태에 대해 찌르면서 구선복이 나중에 죄를 짓더라도 연좌하지 말아 달라는 상소문을 올렸다.
구선복은 사도세자가 죽을 때 뒤주를 지키며 내관들이 가져온 미음과 물까지 내치는 바람에 정조의 원한을 샀고, 결국 정조 즉위 이후 집안이 풍비박산이 났다.
물론 이주국은 의절해서 무사했지만, 친척으로서 도리를 다해야 한다며 구선복이 죽었을 때 장례를 잘 치러주었다고 한다.
이 일화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는데, 어린아이 형상으로 떡을 빚었다는 것이 사실 인육을 먹은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어린아이 간 빼먹기와 같은 민담인 듯하다.
출처 : 나무위키
3. 떡국 레시피
재료준비
흰떡 600g, 쇠고기(사태) 300g, 물 2.2kg(11컵), 파 20g, 마늘 10g, 청장(햇장 또는 맑은 국간장) 9g(1/2작은술), 다진 파 1.1g(1/4 작은술), 다진 마늘 1.4g(1/4작은술), 후춧가루 0.1g, 파 20g, 달걀 60g(1개), 실고추 0.1g

조리 방법
- 쇠고기는 핏물을 닦고, 향채는 손질하여 깨끗이 씻는다.
- 냄비에 쇠고기와 물을 붓고, 센불에 11분 정도 올려 끓으면 중불로 낮추어 30분정도 끓인 후, 향채를 넣어 20분 정도 더 끓인다. 쇠고기는 건져서 길이 5cm, 폭·두께 0.5cm 정도로 찢어 양념장으로 양념하고(160g), 국물은 식힌 후 면보에 걸러 육수를 만든다(1.6kg).
- 흰떡은 길이 4cm 두께 0.2cm 정도로 어슷썬다.
- 파는 깨끗이 씻어 길이 2cm, 두께 0.2cm 정도로 어슷썬다.
- 달걀은 황백지단을 부쳐 길이 2cm 정도의 마름모꼴로 썰고, 실고추는 길이 2cm 정도로 자른다.
- 냄비에 육수를 붓고, 센불에 8분 정도 올려 끓으면 흰떡을 넣고 3분 정도 끓인다.
- 떡이 익어 떠오르면, 파를 넣고 청장(햇장 또는 맑은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하여 2분 정도 더 끓인다.
- 그릇에 담고, 쇠고기(80g)와 황백지단, 실고추를 고명으로 얹는다.
4. 떡국 레시피 빠르게 찾기 ◀◀◀
아래의 도표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빠르게 떡국 레시피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고, 나와 맞는 떡국 레시피를 빠르고 쉽게 검색하여 맛있는 음식을 만드시길 바랍니다.
순서 | 내 용 (클릭하시면 결과를 보실 수 있어요) |
1 | 백종원 떡국 레시피 ◀Click |
2 | 멸치 육수 떡국 레시피 ◀Click |
3 | 사골 떡국 레시피 ◀Click |
4 | 간단한 떡국 레시피 ◀Click |
찾으시는 레시피가 있다면 검색창에 키워드를 붙여주시면 됩니다.